티스토리 뷰
무릎은 신체 부위 중 가장 운동량이 많고 체중 부하가 심해 손상되기 쉬운 부위입니다. 남녀노소 모두에게 나타나는 질환 중에는 무릎연골연화증이 있습니다. 이를 방치하게 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고 걸음걸이와 체형에 크게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조기치료가 중요하며 일상에서 관리하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릎연골연화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이란?
슬개골 연골이 약해진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어 연골이 약해지거나 파괴된 질환을 말합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이 생기는 이유는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거나 운동량이 부족한 경우에 관절을 지지하던 근육이 약해지고 경직되며,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대퇴골과 슬개골의 마찰을 불러 일으키거나 무릎에 충격이 가해지는 외상과 다리의 구조적인 결함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연골연화증 증상
1. 무릎 관절 앞부분에 둔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2. 계단을 오르내릴 때나 한 자세로 오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집니다.
3.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딱딱 소리가 나고, 갑자기 뻣뻣해집니다.
4. 무릎이 각도 이상으로 구부러지거나 펴지지 않습니다.
5. 눈이나 비가 오면 무릎통증이 심해집니다.
연골연화증 원인?
무릎뼈가 제자리에서 벗어나거나(탈구), 골절되어 관절면이 어긋난 상태 그대로 치유된 경우, 무릎 전방 부위를 강하게 부딪친 경우와 같이 무릎뼈 연골이 외상에 의한 손상을 입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특별한 외상이 없이도 발생합니다.
오랫동안 무릎 관절을 고정하여 사용하지 않아 넙다리네갈래근이 약화되거나 불균형해져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넙다리 관절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며, 다리가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 무릎뼈 고위증이 있는 경우, 무릎뼈 바깥쪽 지대의 구축으로 인해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반월상연골 손상으로 인해 무릎뼈 움직임과 안정성에 이상이 생긴 경우 등과 같이 무릎-넙다리 관절에 무리한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무릎연골연화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관절에 반복적으로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경우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연골연화증 예방법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가파른 길을 오르내리는 등산, 언덕 및 비탈길을 오르내리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쭈그리고 앉아서 일하거나 양반다리 또는 장시간 무릎을 구부리고 앉아 있는 자세 등 무릎-넙적다리 관절에 압박이 가해지는 자세는 피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무릎연골연화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정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기힘든 아토피 가려움증 해소방법 (1) | 2024.02.25 |
---|---|
먹기전에 걱정되는 탈모약 부작용 (0) | 2024.02.23 |
하지정맥류 초기증상 알아야 빨리 낫는다 (0) | 2024.02.21 |
요실금 증세와 생기는 이유? (0) | 2024.02.20 |
구내염 빨리 낫는법 생각보다 간단하다 (1)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