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부터 재난지원금 신청 6일부터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제5차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절차가 시작된 가운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 국민 사이에서 “세금 낸 게 얼마인데 나는 왜 주지 않느냐”는 불만이 표출되고 있다. 특히 같은 직장 내 같은 직급끼리도 맞벌이 여부, 자녀 수 등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어 국민지원금 취지, 기준, 효과 등에 대한 총체적인 의문이 터져 나온다.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 확인 및 신청이 시작된 오늘 인터넷 주요 커뮤니티엔 지급 대상의 형평성을 둘러싼 논란이 잇따랐다. “대상 기준을 납득할 수 없다” “내가 어째서 소득하위 88%에 속하지 않느냐”는 글이 많았다.국민지원금은 건강보험료 납입액을 기준으로 지급된다. 1인가구는 직장가입자 기준 연소득 5800만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

통신 3사 휴대폰으로 재난지원금 5차 신청써비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를 통해 6일부터 접수가 시작되는 재난지원금 5차 신청 접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국민 약 88%가 1인당 25만원씩 지급받을 수 있는 재난지원금 5차에 해당한다. 휴대폰 본인인증을 통해 이동전화번호로 문자 인증번호를 받거나 'PASS 앱'으로 손쉽게 이용하는 식이다. 특히 문자 인증 방식은 별도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스마트폰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디지털 취약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 PASS 앱을 이용하고 있다면 생체 인증이나 6자리 핀(PIN) 번호 인증 등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마칠 수 있다. 코로나..

1인당 25만원씩 전 국민의 약 88%가 받는 재난지원금5차는 동네 마트나 식당·편의점 등에서 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지난해 재난지원금 사용처와 마찬가지로 대형 마트를 비롯해 백화점·온라인몰·유흥업종·노래방·면세점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2일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의 용도 제한 규정을 기본적으로 지난해 재난지원금과 같게 운영할 방침이다. 재난지원금은 이를 받는 사람이 신용카드·체크카드·선불카드·지역상품권 중 선호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 주민등록상 거주지(광역시·도)에서 원하는 곳에 쓰면 된다. 전통시장·동네마트·주유소·음식점·카페·빵집·편의점·병원·약국·미용실·안경점·서점·문방구·어린이집·유치원·학원 등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다. 하지만 대..

재난지원금 5차 추석전 지급되나? 1인당 25만원씩 지급되는 5차재난지원금이 9월말 추석명절전에 집행될것으로 보인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대표는 라디오방송을 통해 재난지원금 일정과 관련해 이번 추석전 지급될수 있도록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당초 소득하위80%까지 재난지원금을 받을수 있다고 했는데 대상이 88%에서 많으면 90%수준까지 오를 가운데 1인가구는 연소득 5000만원 이하, 6월건강보험료 기준 직장가입자 14만3900원, 지역가입자 13만6300원 이하로 내는사람들 모두 25만원의 재난지원금을 받을수 있다. 2인가구도 마찬가지로 6월건강보험료 기준 직장가입자 24만7000원, 지역가입자 24만400원 이하가 해당된다. 추경안에 잡힌 재난지원금 5차 대상 가구는 우리나라 전체가구수의 87.7%인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