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흔히 어떤 음식끼리 먹으면 좋고 어떤 음식끼리 먹으면 좋지 않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텐데요. 약도 마찬가집입니다. 약과 함께 먹는 음식에도 궁합이 있는데요. 약과 함께 먹는 음식이 약효를 감소시키거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께 먹으면 안되는 약과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레르기약×과일주스, 알코올
피부나 호흡기를 자극하는 물질이 몸안으로 들어오면 이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히스타민이라는 성분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비염이나 아토피 등의 질환이 발생하는데 이런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이 바로 항히스타민제입니다.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이 졸음과 어지럼증입니다. 알코올은 항히스타민제의 중추신경 억제 효과나 졸음이 배가 될수 있고 과일주스는 위산도에 영향을 주어 약효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피하도록 합니다.
고혈압약×자몽
자몽은 칼슘 채널 차단 방식의 고혈압약과 함께 먹으면 해롭습니다. 자몽은 약의 혈중 수치를 과도하게 높여 고혈압약을 자몽 주스와 함께 먹으면 혈압이 과하게 낮아지거나 신장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복용 전 1시간, 복용 후 2시간 이내에는 자몽이 든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장약×오렌지주스, 우유
제산제로 흔히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겔을 오렌지주스와 함께 복용하면 알루미늄 성분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유에 들어 있는 칼슘 성분은 위 점막을 보호하는 수산화알루미늄겔의 성분과 상극입니다. 혈중 칼슘 수치가 급격하게 상승해 구토, 식욕부진, 변비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항생제×우유 및 유제품
우유나 유제품 속의 칼슘 성분은 일부 항생제나 항진균제(테트라사이클린,시프로플록사신 등)의 성분과 결합하여 체내 흡수를 방해합니다.
진통제×카페인 음료
여러 가지 성분이 들어 있는 복합 진통제에는 카페인이 함유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커피, 콜라, 에너지음료에도 카페인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함께 복용할 경우 카페인을 과량 복용하게 되어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빈혈약×녹차 및 홍차
녹차와 홍차의 타닌 성분과 빈혈약의 철분 성분이 결합해 약의 고유 성분을 변형시킵니다. 즉 철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배설시키면서 약효를 떨어뜨립니다.
우울증약×치즈 및 와인
치즈, 와인 등에 풍부히 함유된 티라민과 항우울제 중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 계통의 약을 함께 복용하면 항우울제가 티라민의 분해를 방해하면서 체내 티라민의 농도를 증가 급성고혈압, 두통 등을 유발합니다.
진통제×술
아세트아미노펜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해열진통제를 술과 함께 복용하면 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힙니다.
감기약×커피 및 초콜릿
감기약에는 항생제가 들어있는데 우유 속 칼슘이 약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또한 감기약에 카페인이 이미 들어있기 때문에 카페인 함량이 높은 커피나 초콜릿 등과 같이 먹으면 카페인을 과다 섭취해 메스꺼움, 어지럼증, 가슴두근거림, 불면증 등이 생깁니다.
이상으로 함께 먹으면 안되는 약과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정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외로 모르는 사람이 많은 감자의 효능 (0) | 2023.04.08 |
---|---|
치아건강 음식으로 관리 가능하다 치아건강에 좋은음식 (0) | 2023.04.07 |
가슴 통증 원인이 되는 대표질환들 (0) | 2023.03.26 |
면역력 높이는 방법 이것만 하면 된다 (1) | 2023.03.23 |
수면 무호흡증 증상 및 치료 예방법까지 알아보기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