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창과 영덕은 아름다운 해안선과 풍부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4월에 여행하기 좋은 경북영덕의 복사꽃 마을과 전북 고창의 고창읍성을 소개합니다.
1. 영덕 복사꽃마을
벚꽃이 지면 복사꽃이 핀다. 복사꽃이 울긋불긋 산천을 물들이면 가히 봄의 절정이다. 복사꽃은 화려한 색과 은은한 향기로 사람들의 넋을 쏙 빼놓는다. 오죽하면 과년한 딸이나 새색시가 봄바람 날까 봐 집 안에 복사나무를 심지 않았을까. 복사꽃 구경하기 좋은 곳이 영덕이다. 4월 초·중순이면 지품면 구릉과 오십천 일대가 온통 핑크빛으로 물들면서 무릉도원을 이룬다. 영덕의 복사꽃 나들이는 드라이브가 제격이다. 복숭아밭이 워낙 방대한 영역에 걸쳐 있기에 차를 타고 둘러봐야 한다.
당진영덕고속도로 동청송·영양 IC로 나오면 황장재가 지척이다. 국도34호선이 지나는 황장재는 고속도로가 생기기까지 내륙에서 영덕으로 들어오는 관문이었다. 황장재에 ‘지품면 황장재’라고 쓰인 거대한 표석이 있다.
고갯마루에서 구불구불 이어진 길을 따라 내려오면 하나둘 복숭아밭이 보인다. 지품면사무소 앞에는 노란색으로 칠한 앙증맞은 버스 모양 정류장이 눈길을 끈다. 정류장에 쓰인 ‘복사꽃향기마을’은 지품면의 중심인 신안리를 부르는 별칭이다. 복사꽃이 필 때면 꽃향기로 마을이 들썩들썩한다.
2. 고창읍성
고갯마루에서 구불구불 이어진 길을 따라 내려오면 하나둘 복숭아밭이 보인다. 지품면사무소 앞에는 노란색으로 칠한 앙증맞은 버스 모양 정류장이 눈길을 끈다. 정류장에 쓰인 ‘복사꽃향기마을’은 지품면의 중심인 신안리를 부르는 별칭이다. 복사꽃이 필 때면 꽃향기로 마을이 들썩들썩한다.
고창읍성은 1453년(조선 단종 원년) 외침을 막기 위해 백성들이 자연석을 쌓아 만든 성곽이라 전해진다. 고창의 옛 이름 ‘모량부리’를 따라 모양성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시대에 인근의 장성 입암산성(사적)과 연계하여 호남 내륙을 방어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 성 둘레 1684m에 높이 4~6m로, 동·서·북문과 옹성(성문 밖에 원형으로 만든 작은 성), 치성(성벽 바깥에 덧붙여 쌓은 벽), 해자(성벽을 따라 판 방어용 연못) 등 방어 시설을 두루 갖췄다. 평지에 있는 보통 읍성과 달리 산을 끼고 쌓아 원형이 잘 보존됐다.
고창읍성은 여성들이 쌓았다는 설화가 있는데, 이와 관련해 여자들이 머리에 돌을 얹고 성곽 길을 도는 성밟기(답성 놀이)가 오늘날까지 전해온다. 성을 한 바퀴 돌면 다릿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무병장수하고, 세 바퀴 돌면 극락왕생한단다. 해마다 중양절(음력 9월 9일) 전후에 열리는 고창모양성제 때 지역 여성들이 한복을 차려입고 줄지어 성밟기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의 정문은 북문인 공북루다. 앞면은 주춧돌에 나무 기둥을 세우고, 뒷면은 화강암 기둥에 다시 나무 기둥을 세운 2층 누각이다. 앞면 주춧돌에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한 것이나 기둥에 홈을 파고 문짝을 단 모습이 조선 시대 여느 읍성에선 보기 힘든 양식이다. 성문 앞에 옹성을 쌓고, 그 위에 총구멍이 있는 여장(낮은 담장)을 만들어 방어력을 높였다.
성안에 들어서면 왼쪽으로 형틀을 갖춘 옥사가 보인다. 처음 고창읍성을 지을 때 옥사와 동헌, 객사 등 관아 건물이 22동 있었으나, 전란을 거치며 대부분 소실된 것을 절반 이상 복원했다. 지금은 동헌과 객사, 옥사뿐만 아니라 장청, 시청, 향청과 연못 등이 곳곳에 자리 잡았다. 이중 비교적 옛 모습을 잘 갖춘 객사와 내아, 동헌 등에서 〈사도〉 〈화정〉 〈미스터 션샤인〉 같은 영화와 드라마를 촬영했다.
이상으로 4월여행지에 적합한 두곳 영덕 복사꽃마을과 전북고창읍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정보
'여행&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녀온 사람들이 추천하는 부산 맛집 베스트10 (1) | 2023.04.02 |
---|---|
리뷰 보고 뽑은 강릉 맛집 추천 (1) | 2023.04.01 |
봄에 가볼만한 전주여행지(feat. 봄꽃여행) (1) | 2023.03.30 |
방문리뷰 보고 뽑은 전주 맛집 베스트10 (3) | 2023.03.29 |
통영 맛집 여기를 빼놓으면 섭섭하지 (1) | 2023.03.28 |